S&P 500 지수 알아보기
S&P 500 지수는 미국 주식 시장의 대표적인 지수로, 뉴욕증권거래소(NYSE)와 나스닥(NASDAQ)에 상장된 시가총액이 가장 큰 500개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 지수는 미국 경제 및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 널리 인식되고 있습니다.
1957년 3월 4일에 시작된 S&P 500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(Standard & Poor's)라는 회사에서 만들었으며, 이후 금융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벤치마크 지수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.
S&P 500 구성종목 TOP10 (비중순%)
(2024.01.24 기준)
순위 | 회사명 | 구성비중 (%) |
1 | Microsoft Corp | 7.16 |
2 | Apple Inc | 6.89 |
3 | NVIDIA Corp | 3.58 |
4 | Amazon.com Inc | 3.42 |
5 | Alphabet Inc (Class C) | 2.1 |
6 | Meta Platforms Inc | 2.06 |
7 | Alphabet Inc (Class A) | 1.79 |
8 | Berkshire Hathaway Inc | 1.62 |
9 | Tesla Inc | 1.4 |
10 | Broadcom Inc | 1.29 |
S&P 500의 최신 동향
현재 지수: S&P 500 지수는 최근 4,864.60 포인트 기록했습니다. (2024.01.24 기준)
S&P 500 지수의 중요성 및 특징
- 경제 지표: S&P 500은 미국 대형주의 시가총액을 기반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- 구성 기업: 지수에 포함된 500개 기업은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어, 미국 경제의 다양성을 포괄적으로 반영합니다.
- 투자 방법: 직접적으로 S&P 500을 매수할 수는 없지만,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ETF(Exchange-Traded Fund)나 인덱스 펀드를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.
S&P 500 대표 ETF 비교
항목 | SPY | IVV | VOO |
운용사 |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| BlackRock | Vanguard Group |
수수료 | 0.09% | 0.03% | 0.03% |
배당수익률 | 1.58% | 1.59% | 1.62% |
시가총액 | 480.15B | 415.96B | 1.1T |
배당 주기 | 분기배당 | 분기배당 | 분기배당 |
※ 여기서 시가총액의 'B'는 'Billion' (10억), 'T'는 'Trillion' (1조)을 나타내며, 수수료는 연간 비용 비율을 의미합니다.
1. SPDR S&P 500 ETF Trust (SPY)
- 운용사: State Street Global Advisors
- 특징: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자산 규모를 가진 S&P 500 ETF 중 하나, 높은 유동성
- 수수료: 0.0945%
- 배당수익률: 1.58%
- 시가총액: 480.15B
- 배당 주기: 분기배당
2. iShares Core S&P 500 ETF (IVV)
- 운용사: BlackRock
- 특징: 경비 비율이 낮고, SPY와 비슷한 방식으로 S&P 500 지수를 추종
- 수수료: 0.03%
- 배당수익률: 1.59%
- 시가총액: 415.96B
- 배당 주기: 분기배당
3. Vanguard S&P 500 ETF (VOO)
- 운용사: Vanguard Group
- 특징: Vanguard의 방대한 자산 규모와 낮은 수수료 모델로 운영되는 S&P 500 추종 ETF
- 수수료: 0.03%
- 배당수익률: 1.62%
- 시가총액: 1.1T
- 배당 주기: 분기배당
국내 상장 S&P 500 ETF 비교
(2024.01.24 기준)
종목명 | 순자산 | 거래량 (3개월평균) |
수익률(%) | 총보수(%) | 운용사 |
TIGER 미국S&P500 | 23,603 | 946,233 | 35.49 | 0.07 | 미래에셋자산운용 |
KODEX 미국S&P500TR | 7,398 | 275,597 | 35.66 | 0.05 | 삼성자산운용 |
ACE 미국S&P500 | 7,383 | 204,674 | 35.66 | 0.07 | 한국투자신탁운용 |
KBSTAR 미국S&P500 | 2,567 | 94,249 | 35.42 | 0.02 | 케이비자산운용 |
SOL 미국S&P500 | 606 | 21,444 | 35.34 | 0.05 | 신한자산운용 |
ARIRANG 미국S&P500 | 158 | 18,528 | 33.92 | 0.07 | 한화자산운용 |
KOSEF 미국S&P500 | 142 | 2,322 | 35.48 | 0.02 | 키움투자자산운용 |
TIMEFOLIO 미국S&P500액티브 | 92 | 5,188 | 57.48 | 0.8 |
타임폴리오자산운용
|
HANARO 미국S&P500 | 73 | 612 | 33.29 | 0.05 |
엔에이치아문디자산운용
|
WOORI 미국S&P500 | 73 | 6,702 | 36.66 | 0.05 | 우리자산운용 |
- 수익률기간 1년
- KODEX 미국S&P500TR의 TR 뜻 : "Total Return"의 약자로, "총수익"을 의미합니다. 주식의 총수익은 주가 상승에 따른 자본차익과 배당금을 모두 포함한 수익을 의미합니다. 따라서, 주식 TR은 주가 상승률에 배당금을 더한 값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- TIMEFOLIO 미국S&P500액티브의 액티브 뜻 :
"액티브"는 "능동적인"이라는 뜻입니다. 이는 해당 ETF가 S&P 500 지수를 추종하는 "패시브 ETF"가 아닌 "액티브 ETF"라는 것을 의미합니다.
패시브 ETF는 S&P 500 지수와 같은 지수를 추종하기 위해, 해당 지수에 포함된 종목을 동일한 비중으로 편입하여 운용됩니다. 반면, 액티브 ETF는 S&P 500 지수를 추종하면서도, 운용사의 판단에 따라 종목을 선별하거나 비중을 조정하여 운용됩니다.
TIMEFOLIO 미국S&P500액티브의 경우, 타임폴리오자산운용이 엄선한 시장주도 종목 비중 조절을 통해 S&P500 대비 초과성과를 목표로 운용됩니다. 따라서, S&P 500 지수의 성과를 능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
그러나, 액티브 ETF는 패시브 ETF에 비해 운용보수가 높은 편이며, 운용사의 판단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위험이 있습니다.
국내 상장 S&P 500 ETF 분석
아래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입니다.
수익률이 높고 적극적인 자산 운용을 선호한다면, 액티브를 강조하는 "TIMEFOLIO 미국S&P500액티브" ETF를 추천합니다. 운용사의 적극적인 주식 선정과 포트폴리오 관리로 인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으며, 특히 고위험 고수익을 좇는 투자자에게 적합할 수 있습니다.
비교적 낮은 총보수율과 안정적인 투자를 선호한다면, "KODEX 미국S&P500TR" 또는 "KBSTAR 미국S&P500" ETF를 추천합니다. 이들 ETF는 시장 평균 이상의 수익률을 달성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총보수율을 제공하므로 장기적인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.
마무리
S&P 500 지수는 미국 주식 시장의 주요 지수 중 하나로, 500개의 대표적인 기업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 지수는 미국 주식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과 경제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
S&P 500 지수는 장기간 동안 미국 주식 시장의 성과를 추적하여 주식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많은 투자자들이 S&P 500 지수를 참고하여 투자 전략을 세우고, 주식 시장의 상황을 예측합니다.
이 글에서는 S&P 500 지수의 개념, 구성 종목, 투자 방법, 중요성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이 글을 통해 S&P 500 지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하시길 바랍니다.
마지막으로, S&P 500 지수에 투자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.
- 투자 목표와 위험 수용도: S&P 500 지수는 장기 투자에 적합한 지수이지만,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. 따라서,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수용도를 고려하여 투자 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.
- 투자 비용: S&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나 인덱스 펀드의 투자 비용은 일반적으로 낮은 편이지만, 운용 수수료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.
이 글이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
'주식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트럼프 상호관세 여파로 인한 미국 주식시장 폭락, 현명한 투자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? (0) | 2025.04.05 |
---|---|
세계 3번째 부자 워렌 버핏의 포트폴리오 - 뱅크 오브 아메리카, 코카콜라 등 (0) | 2024.01.18 |
LG디스플레이, 효성티앤씨 등 최근 영업이익 증가된 기업들 (0) | 2021.02.16 |
새로 떠오르는 글로벌 플랫폼 기업들 (판둬둬,다다넥서스) (0) | 2021.02.15 |
국내외 수소경제 ETF 2가지 (with ETF 수익률) (0) | 2021.02.10 |